
목차
축산물등급제도란?
우리 식생활에 이용되는 축산물(쇠고기·돼지고기·닭고기·오리고기·계란)의 품질을 정부가 정한 일정기준에 따라 구분하여 품질을 차별화함으로써 소비자에게 구매지표를 제공하고 생산자에게는 보다 좋은 품질의 축산물을 생산하게 하여, 축산물 유통을 원활하게 하는 생산자·유통업자·소비자 모두를 위한 제도입니다.
축산물등급제도의 효과
축산물 등급제는 주요 축산물을 객관적인 기준에 따라 판정하여 품질을 차별화하는 제도입니다. 그 결과를 활용해 국내산 축산물의 경쟁력을 높이고 원활한 유통환경을 조성합니다.
축종별 사업 구분
의무판정 | 자율판정 |
소,돼지 | 닭, 오리, 계란, 말, 꿀 |
축산물등급제도 적용 축산물
1) 쇠고기
- 육질등급 : 1++, 1+, 2, 3 등급
- 육량등급 : A, B, C 등급
2) 돼지고기
1+, 1, 2 등급
3) 가금산물(닭고기, 오리고기, 계란)
① 닭고기
통닭 : 1+, 1, 2 등급
부분육 : 1. 2 등급
② 오리고기
1+, 1, 2 등급
③ 계란
1+, 1, 2 등급
4) 말고기
- 육질등급 : 1, 2, 3 등급
- 육량등급 : A, B, C 등급
축산물등급제의 필요성
- 국민소득의 증가로 식생활이 변화함에 따라 축산물 소비경향이 양에서 질 위주로 전환되어 고급육의 선호도가 높아졌으며 외국산 축산물의 수입개방에 대응하기 위하여 품질이 우수한 국내산 축산물생산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습니다.
- 한편 육류유통이 생축에서 점차 지육 및 부분육으로 거래됨에 따라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거래지표가 요구됩니다.
축산물등급제도의 효과
- 소비자 : 사고자하는 축산물의 품질을 식별할 수 있어 구입선택의 폭이 넓어졌습니다.
- 유통업자 : 고객수준에 맞는 품질의 축산물을 제공할 수 있어 소비자와의 신뢰구축과 판매이익 등의 예측이 가능해 안정적 영업활동이 가능합니다.
- 생산자 : 등급결과를 이용하여 품질이 좋은 축산물 생산으로 소득증대 효과가 있습니다.
※ 축산물등급제는 등급에 의한 차등거래 실시로 소비자 · 유통업자 · 생산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전면허 벌점과 벌점 등 초과로 인한 운전면허 정지·취소 기준 (0) | 2023.01.29 |
---|---|
1월 30일부터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조정 (0) | 2023.01.29 |
대형 트럭 뒤에 눈 스티커를 붙이는 이유? (0) | 2023.01.04 |
내년부터 만 나이 통일! 만 나이 통일법 시행일은? (0) | 2022.12.31 |
유료방송, 통신요금 미환급액 조회 및 환급 신청 방법 (0) | 2022.12.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