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외평채 vs 통화채: 외환보유고 관리의 두 축을 알아보자

정보 by 백수남자 2025. 3. 29.

“뉴스에서 ‘외평채 발행’, ‘통화안정증권’ 같은 단어를 보긴 했는데, 도대체 이게 뭘까?”
이런 용어들, 생소하지만 사실 우리나라 경제와 외환시장 안정에 큰 역할을 하고 있어요.
오늘은 외환보유고와 관련된 외평채, 통화채의 개념을 쉽고 간단하게 알려드릴게요.

 

📚 이 글에서 다룰 내용

     

    1. 외환보유고란? 

    • 외환보유고 = 국가가 보유한 외화자산
    • 왜 필요할까?
      • 환율 급등락 막기
      • 해외 빚 갚기 대비
      • 국가 신용 유지
    • 주요 구성요소 소개 (외화자산, 금, SDR, IMF포지션 등)

    👉 TIP: "외환보유고는 국가의 비상금 통장이라고 보면 쉬워요."

     

     

    2. 외평채란?

    • 정식 명칭: 외국환평형기금채권
    • 발행 주체: 기획재정부
    • 목적: 외환시장 안정
    • 예시로 설명:
      • 원화 가치가 너무 올라가면 → 정부가 달러 사들임 → 원화가 많아짐 → 외평채로 흡수!

    👉 한 문장 요약: “외평채는 정부가 외환시장에 개입할 때 쓰는 자금 마련 수단이에요.”

     

     

    3. 통화채란?

    • 정식 명칭: 통화안정증권
    • 발행 주체: 한국은행
    • 목적: 시중 통화량 조절 (인플레이션 방지)
    • 차이점:
      • 외평채는 외환시장용
      • 통화채는 국내 물가, 금리 관리용

    👉 쉽게 기억하기: “통화채는 한국은행의 돈풀기/돈걷기 리모컨!”

     

     

    4. 외평채와 통화채가 외환보유고와 무슨 관계가 있을까?

    • 외평채·통화채 자체는 외환보유고가 아님
    • BUT, 발행해서 조달한 자금으로 외화를 사면 → 그 외화가 외환보유고에 포함
    • 즉, 외환보유고를 ‘만드는 도구’ 역할
    • 트위터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