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돼지고기 등급판정 기준 및 항목, 좋은 고기 고르는 방법

정보 by 백수남자 2023. 7. 13.

소고기와 마찬가지로 우리가 마트에서 돼지고기를 살 때면 항상 포장지에 등급 표시가 적혀있는걸 보셨을겁니다. 등급에 따라 가격이나 고기의 질, 맛 등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 입장에서도 축산물의 등급 평가 기준과 방법을 명확하게 인지하고 있는 게 합리적인 소비를 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오늘은 가장 흔하게 소비하는 육류인 돼지고기의 등급과 등급 판정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보려 합니다. 소고기 등급 판정에 대한 설명은 지난번 포스팅을 참조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투쁠? 원쁠? 마블링 스코어? 우리나라 소고기 등급 기준 정리

안녕하세요. 정육점이나 마트 등에서 한우 소고기를 살 때 포장면에 "OO등급" 등으로 표시된 걸 보셨을 겁니다. 우리나라에는 축산물 등급제도가 있어서 모든 국내산 쇠고기는 등급판정을 받은

seungumonstory.tistory.com

 

 

목차

     

     

    돼지 도체 등급판정 기준 및 항목

    1차 판정 2차 판정 최종 등급
    성별

    도체중량

    등지방두께
    외관
    비육상태, 삼겹살상태, 지방부착상태

    육질
    지방침착도, 육색, 지방색, 육조직감, 지방질

    결함
    근출혈, 근육제거, 외상 등
    최종등급 부여
    (1+, 1, 2, 등외)

     

    축산법에 따라 소와 마찬가지로 모든 국내산 돼지고기는 등급판정 후 유통됩니다. 돼지 등급에는 1+, 1, 2, 등급 외 총 4가지 등급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돼지고기 중 삼겹살 부위를 기준으로 평가 항목들을 적용합니다.

    1차 판정과 2차 판정의 결과인 1차 등급과 2차 등급 중 가장 낮은 등급을 최종 등급으로 부여합니다.

     

    등급 도체중(kg) 등지방 두께(mm)
    범위(이상 ~ 미만) 범위(이상 ~ 미만)
    1+ 83 ~ 93 17 ~ 25
    1 80 ~ 83 15 ~ 28
    83 ~ 93 15 ~ 17
    83 ~ 93 25 ~ 28
    93 ~ 98 15 ~ 28
    2 1+, 1에 속하지 않는 것

     

    1차 등급판정 기준의 도체중 및 등지방 두께 규격 범위는 위와 같습니다. 1차 등급판정 기준은 돼지도체의 등급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항목입니다.

     

    1+ 등급을 보면 도체중 83kg 이상 93kg 미만, 등지방 두께 17mm 이상 25mm 미만의 기준을 가지고 있습니다. 해당 범위를 조금이라도 벗어나면 바로 등급이 하락되고 2차에서 좋은 등급을 받는다 하더라도 가장 낮은 등급을 최종등급으로 부여하고 2차 판정 결과에서는 대부분 등급 편차가 크지 않기 때문에 1차 판정 결과가 실질적인 최종등급인 셈입니다.

     

     

    1차 등급판정과 2차 등급판정 결과 데이터

    2018년 돼지 등급판정 결과에 의하면, 1+등급의 도체중량 범위에 속하는 돼지 비율은 암퇘지가 57%, 거세돼지가 55.3%이며, 1+ 등급의 등지방 두께 범위에 속하는 돼지 비율은 암퇘지가 62.4%, 거세돼지가 54.9%로 나타났습니다.

    1+ 등급 판정을 받은 돼지를 성별로 분류해 봤을 땐 암퇘지가 거세돼지보다 약간 더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는 것입니다.

     

    2차 등급판정에 의해 최종등급이 하락한 돼지의 비율은 2018년 전체 판정두수 대비 3.6%로 적은편입니다. 그만큼 요즘은 은 농가의 사육 방식이나 사육환경 등이 과거에 비해 상향평준화가 되면서 외관, 육질, 결함 등의 편차가 많이 줄어들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질좋은 고기 선택 기준?

    개개인의 입맛에 따라 같은 삼겹살을 먹어도 맛있다고 느끼는 정도가 다르고 1+등급 삼겹살이라고 해도 유통이나 저장 과정에서 문제가 있다면 쉽게 맛이 변질될 수 있는게 신선육입니다. 따라서 등급판정을 받은 뒤 유통과정을 거친 뒤 최종적인 소비자에게 오기까지 어떤 변화가 있을지 모르기 때문에 질좋고 맛있는 고기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구매하는 시점에 고기를 한번 더 보고 상태가 좋은 고기를 골라야 합니다.

     

    <좋은 고기 고르는 팁>
    ① 1등급 이상의 판정을 받은 고기를 선택한다.
    ② 육색이 붉은빛을 띠고 변색되지 않은 고기를 선택한다.
    ③ 지방부위가 흰색을 띠고 육질이 단단한 고기를 선택한다.
    ④ 핏물이나 드립이 최대한 없는 고기로 선택한다.

     

    상향평준화되고 있는 고기의 품질 만큼이나 가격 역시 매섭게 치솟고 있어 고기를 사먹기 부담스러울 때가 많지만, 이왕 한 번 먹을 때 질좋고 맛있는 고기를 잘 골라서 만족스러운 한끼 식사를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트위터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