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국민들의 삶의 목표이자 희망사항 중 하나가 내 집 마련일거라 생각합니다. 수중에 현금이 아주 많은 경우가 아닌 이상 대출 없이 자가 집을 마련하기란 굉장히 어려운 일인데요.
오늘은 여러 대출 상품들 중 상대적으로 금리가 낮아 부담이 적은 정부에서 지원하는 정책 대출 4가지를 소개해 보려고 합니다. 각 대출별로 대출 대상, 한도, 소득 기준 등을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정리해 보았습니다.
목차
1. 내집마련디딤돌대출
내집마련디딤돌대출은 정부지원 3대 서민 구입자금을 하나로 통합한 저금리의 구입자금대출입니다.
1) 대출대상
부부합산 연소득 6천만원 이하(생애최초 주택구입자, 2자녀이상 가구는 연소득 7천만원, 신혼가구는 연소득 8.5천만원 이하), 순자산가액 4.69억원 이하 무주택 세대주
만 30세 미만 미혼세대주는 대출 제외(단, 직계존속 중 1인 이상과 동일세대를 구성하고 주민등록등본상 부양기간이 계속해서 6개월 이상인 경우 가능)
2) 대출금리
연 2.45% ~ 3.55%
3) 대출한도
일반 2.5억원 이내, 생애최초 주택구입자 3억원 이내, 신혼가구 및 2자녀 이상 가구 4억원 이내(LTV 70%, 생애최초 주택구입자는 LTV 80%, DTI 60% 이내)
4) 대출기간
10년, 15년, 20년, 30년(거치 1년 또는 비거치)
2. 신혼부부전용 구입자금
신혼집 구입비용이 고민인 신혼부부를 위한 주택 구입자금 대출입니다.
1) 대출대상
부부합산 연소득 8.5천만원 이하, 순자산가액 4.69억원 이하 무주택 세대주
2) 대출금리
연 2.15% ~ 3.25%
3) 대출한도
최대 4억원 이내(LTV 80%, DTI 60% 이내)
4) 대출기간
10 년, 15년, 20년, 30년(거치 1년 또는 비거치)
3. 신생아 특례 디딤돌대출
1) 대출대상
대출접수일 기준 2년 내 출산(23.1.1 이후 출생아부터 적용)한 무주택 세대주 및 1주택 세대주(대환대출)
2) 대출금리
연 1.6% ~ 3.3%
3) 대출한도
최대 5억원 이내(LTV 70%, 생애최초 주택구입자는 LTV 80%, DTI 60% 이내)
4) 대출기간
10 년, 15년, 20년, 30년(거치 1년 또는 비거치)
4. 보금자리론
1) 대출대상
대출접수일 기준 부부합산 연소득 7천만원 이하(신혼가구는 연소득 8.5천만원, 미성년 1자녀 8천만원, 2자녀 9천만원, 3자녀 1억원 이하)
2) 대출금리
연 1.6% ~ 3.3%
3) 대출한도
최대 3.6억원 이내, 다자녀·전세사기피해자 4억원, 생애최초 4.2억원(LTV 70%, DTI 60% 이내)
4) 대출기간
10 년, 15년, 20년, 30년, 40년, 50년
정책 대출 총 정리
구분 | 내집마련디딤돌대출 | 신혼부부전용 구입자금 | 신생아 특례 디딤돌대출 | 보금자리론 |
대출 대상 |
세대원 전원 무주택 세대주 | 세대원 전원 무주택자 세대주 | 2년 내 출산(2023.11.이후) 무주택 세대주 (구입) 1주택 세대주 (대환) |
무주택 세대주 1주택 세대주(처분조건) |
주택 가액 |
5억 6억(신혼, 2자녀 이상 가구) |
6억 | 9억 | 6억 |
대출 한도 |
생애최초 3억 신혼 4억 만 30세 이상 단독세대주 1.5억 |
4억 | 5억 | 일반 3.6억 생애최초 4.2억 |
가능 면적 |
85㎡ 이하 (읍·면지역 100 ㎡) |
85㎡이하 (읍·면지역 100 ㎡) |
85㎡ 이하 (읍·면 지역 100㎡) |
- |
소득 기준 |
부부합산 연소득 6천만원 | 부부합산 연소득 8.5천만원 | 부부합산 연소득 1.3억원 | 부부합산 연소득 7천만원 신혼부부 8.5천만원 |
LTV | 70% 80%(생애최초) |
80% | 70% 80%(생애최초) |
70% |
DTI | 60% | 60% | 60% | 60% |
대출 금리 |
연 2.45% ~ 3.55% | 연 2.15% ~ 3.25% | 연 1.6% ~ 3.3% | 연 4.2% ~ 4.5% |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복절 태극기 게양 방법 (0) | 2024.08.15 |
---|---|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핵심 총정리 (0) | 2024.08.14 |
배당락일 vs 배당기준일 vs 배당지급일 차이점? 헷갈리는 주식 배당 관련 용어 정리 (0) | 2024.07.28 |
요소와 요소수? 중국발 요소수 사태 정리 (1) | 2024.07.27 |
한전 주택용 에너지캐시백 신청대상, 산정방법, 신청방법 (0) | 2024.07.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