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R800x800/?fname=https://blog.kakaocdn.net/dn/dmS27s/btsKTZPA3pE/Pd7UAsYyMfLZ4U0whsm5BK/img.png)
주식을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특정 종목 즉, 기업에 대한 분석이 필요합니다. 기업의 재무제표나 실적뿐만 아니라 현재 기업의 주가가 적정 비율로 반영되었는지 알기 위해서는 PER, PBR, ROE 등의 지표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주식의 가치를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대표적인 지표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PER(Price-to-Earnings Ratio, 주가수익비율)
- 공식: PER = 주가 / 주당순이익(EPS)
- 의미: 기업이 벌어들이는 순이익 대비 주가의 수준을 나타내며, 낮을수록 수익성 대비 저평가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활용: PER이 높으면 성장성이 기대되는 종목이거나 고평가되었을 수 있고, 낮으면 저평가된 종목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EPS(Earnings Per Share, 주당순이익) : 한 주식을 보유한 주주가 기업의 순이익에서 차지하는 몫을 나타내는 지표
EPS = 순이익(Net Income) / 총 발행 주식 수(Outstanding Shares)
- 순이익 : 기업의 세후 순이익
- 총 발행 주식 수 : 시장에 유통되고 있는 주식의 총수
참고로 2024년 현재 기준 우리나라의 KOSPI(코스피)의 평균 PER은 10~15배, 미국의 NASDAQ(나스닥) 평균 PER은 25~30배 수준입니다.
PBR(Price-to-Book Ratio, 주가순자산비율)
- 공식: PBR = 주가 / 주당순자산가치(BPS)
- 의미: 기업의 자산가치 대비 주가의 수준을 나타내며, PBR이 1보다 낮으면 자산 대비 저평가, 1보다 높으면 고평가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활용: 기업이 자산 대비 시장에서 어떤 평가를 받는지 확인할 때 유용합니다. 일반적으로 부채가 적고 자산이 탄탄한 기업은 낮은 PBR이 긍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습니다.
BPS(Book Value Per Share, 주당순자산가치) : 기업의 자산가치를 주식 수로 나눈 지표로, 기업이 청산되었을 때 주주 1주당 받을 수 있는 자산의 가치를 나타냅니다.
BPS = 순자산(Book Value) / 총 발행 주식 수(Total Outstanding Shares)
- 순자산 : 기업의 총 자산에서 총부채를 뺀 금액 (자본)
2024년 기준 우리나라의 코스피 평균 PBR은 약 0.9~1.2배 수준이며, 미국의 나스닥 평균 PBR은 약 3~5배 수준입니다.
우리나라의 기업이 미국 기업보다 PBR이 상대적으로 높은 이유로는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기업들은 제조업 중심이고 유형자산(공장, 설비)이 주요 가치인 반면, 미국 기업의 경우 무형자산(기술, 네트워크, 지적재산권)이 핵심인 경우가 많아 무형자산은 재무제표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으므로 BPS가 낮게 산출되며, 결과적으로 PBR이 높아지는 경향성이 있습니다.
ROE(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이익률)
- 공식: ROE = 순이익 / 자기자본
- 의미: 기업이 자기자본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활용해 이익을 창출하는지 나타내며, 높을수록 자본 효율성이 좋다고 평가됩니다.
- 활용: ROE가 높으면 경영 효율성이 뛰어난 기업으로 평가되며, 특히 PBR과 함께 활용하여 기업의 자산 대비 수익 창출 능력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코스피의 평균 ROE는 5~10% 수준이며, 나스닥 평균 ROE는 15~20% 이상으로 차이가 납니다.
우리나라 기업들의 경우 자산 규모가 크지만, 성장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리고 부채비율이 높아 ROE가 상대적으로 낮은 반면, 미국 기업들은 성장성과 혁신을 중심으로 한 고수익 구조이면서 동시에 연구개발과 확장을 위한 재투자에 적극적이라 적정 수준의 부채를 활용하면서도 높은 이익률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말정산 세액공제, 연금계좌 활용법 (3) | 2024.12.15 |
---|---|
연말정산의 모든 것, 소득공제와 세액공제 어떻게 다를까? (0) | 2024.12.14 |
전일제와 시간제 뜻 (0) | 2024.11.23 |
내년부터 중도상환수수료 절반으로 줄어든다. (1) | 2024.11.23 |
경제용어 정리, 골디락스와 스태그플레이션은 무슨뜻일까? (6) | 2024.11.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