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억 원 이하의 집을 살 때 최대 5억 원까지 고정금리로 돈을 빌려주는 정부 대출 상품인 특례보금자리론의 금리가 인상되었습니다. 올해 1월 말에 출시된 특례보금자리론의 대출금액의 목표 대비 80%가 소진되면서 대출 상품이 동날 수 있다는 공포감과 동시에 주춤했던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다시 오르면서 특례보금자리론의 대출금리 또한 0.25%p 인상되었습니다.
한국주택금융공사 특례보금자리론 금리, 한도, LTV, DTI 총 정리!
대출에는 학자금 대출, 신용 대출, 카드 대출, 주택 대출 등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그중 주택 구입 자금 마련을 위해 가장 많이 알아보는 대출이 주택담보대출입니다. 주택담보대출은 주택을 담
seungumonstory.tistory.com
특례보금자리론 금리
1) 특례보금자리론 금리(공시일 : 2023년 08월 11일)
상품별/만기 | 10년 | 15년 | 20년 | 30년 | 40년 | 50년 | |
일반형 | 특례 u-보금자리론 | 4.50 | 4.60 | 4.65 | 4.70 | 4.75 | 4.80 |
특례 t-보금자리론 | 4.40 | 4.50 | 4.55 | 4.60 | 4.65 | 4.70 | |
우대형 (주택가격 6억원이하, 소득1억원이하) |
특례 u-보금자리론 | 4.15 | 4.25 | 4.30 | 4.35 | 4.40 | 4.45 |
특례 t-보금자리론 | 4.05 | 4.15 | 4.20 | 4.25 | 4.30 | 4.35 |
2) 금리인상 전 특례보금자리론 금리
상품별/만기 | 10년 | 15년 | 20년 | 30년 | 40년 | 50년 | |
일반형 | 특례 u-보금자리론 | 4.25% | 4.35% | 4.40% | 4.45% | 4.50% | 4.55% |
특례 t-보금자리론 | 4.15% | 4.25% | 4.30% | 4.35% | 4.40% | 4.45% | |
우대형 | 특례 u-보금자리론 | 4.15% | 4.25% | 4.30% | 4.35% | 4.40% | 4.45% |
특례 t-보금자리론 | 4.05% | 4.15% | 4.20% | 4.25% | 4.30% | 4.35% |
2023년 08월 11일부로 특례보금자리론 일반형 상품의 금리가 0.25%p 인상되었습니다. 우대형 상품의 경우 금리인상 없이 동일합니다.
또한, 추가적으로 받을 수 있는 우대금리 조건은 기존과 동일하며, 우대금리는 최대 0.8%p 까지만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은행에 직접 방문하여 신청하는 특례 t-보금자리론 상품 10년납으로 가입하고, 우대금리를 최대로 적용받을 시 연 3.25%로 대출받을 수 있습니다.
특례보금자리론 예산
한국주택금융공사에 따르면 7월말 기준 특례보금자리론 상품 신청금액이 31조 1,000억 원으로 집계되었습니다. 금융위원회는 특례보금자리론 출시 당시 1년 동안 39조 6,000억 원 규모로 공급하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예산을 배정했습니다. 지난 1월 30일 출시 후 6개월여 만에 배정 예산의 78.5%를 소진한 상황입니다.
특례보금자리론 예산 조기 소진 시
당초 1년 동안 한시적으로 운영하고자 했던 특례보금자리론 상품이 6개월 만에 예산의 80% 가까이 소진될지는 아무도 예쌍하지 못했을 겁니다. 많은 분들이 '대출 상품 예산이 조기에 소진된다면 특례보금자리론 상품도 조기에 마감되는 거 아니야?'란 걱정을 하실 텐데요.
한국주택금융공사 측에서는 특례보금자리론 운영과 관련해 예산보다는 운영 기간에 초점을 맞추겠다는 방침이라고 합니다. 금융위가 설정했던 공급 계획 규모를 초과해도 출시 후 1년이 되는 내년 1월까지는 공급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입니다.
주금공 관계자는 "특례보금자리론은 정부로부터 예산을 배정받아 공급하는 것이 아닌 자금조달시장에서 MBS(주택저당증권) 발행을 통해 확보한 자금으로 운영하고 있다"며 "금융당국이 계획했던 예산을 넘어서도 운영 기간 1년을 맞출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전면허의 종류와 운전면허별 운전 가능한 차종 (1) | 2023.09.11 |
---|---|
2023년 광복절 운전면허 행정처분 특별감면 대상확인 방법, 특별교통안전교육 신청 방법 (0) | 2023.08.22 |
부동산등기의 개념과 등기의 종류, 신청 및 열람 방법 (0) | 2023.08.11 |
장마철 폭우에 의한 침수 피해 증가! 폭우 시 행동요령, 지하 침수 시 대처방법 (0) | 2023.08.01 |
2024년 최저임금 결정, 내년도 최저임금 9,860원! 최저임금/최저임금법/최저임금 결정 과정 총 정리! (0) | 2023.07.21 |
댓글